집에서 NAS 구축해보니 사진 문서 관리가 완전히 달라졌다
집에서 NAS를 직접 구축해 6TB 용량의 개인 클라우드를 만든 경험을 공유합니다. 사진·문서·영상 자료를 한 곳에 모아두고, 외부에서도 안전하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습니다. 설치 과정, 비용, 속도, 보안 설정까지 실제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설명하며, NAS가 어떻게 업무와 개인 생활의 자료 관리 방식을 바꿨는지 시사점을 제시합니다.
NAS를 구축하게 된 이유
회사와 개인 프로젝트를 병행하다 보니, 자료가 노트북·외장하드·클라우드 서비스에 흩어져 있었습니다. 특히 사진과 문서가 중복 저장되거나, 외부에서 접근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죠. 그래서 NAS를 집에 설치해 모든 자료를 한 곳에서 관리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설치 과정과 초기 세팅
나는 Synology DS220+ 모델을 선택했습니다. 6TB 하드디스크 2개를 RAID 1으로 구성해, 한쪽이 고장 나도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존되도록 했습니다.
- 설치 시간: 약 40분
- 초기 세팅: 사용자 계정·폴더 구조·권한 설정
- 네트워크 연결: 기가비트 LAN으로 연결, 외부 접속을 위해 DDNS와 포트포워딩 설정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건 보안이었는데, 2단계 인증과 IP 접근 제한을 적용했습니다.
사진 관리의 변화
NAS를 쓰기 전에는 사진이 스마트폰·카메라·외장하드에 흩어져 있었고, 찾는 데 평균 3~5분이 걸렸습니다. NAS로 옮긴 후, 태그와 날짜별 폴더를 자동 생성해 검색 시간이 평균 10초로 줄었습니다.
특히 여행 사진을 가족과 공유할 때, 링크만 보내면 원본 화질 그대로 볼 수 있어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문서 관리의 효율성
업무 문서와 개인 자료를 ‘Work’와 ‘Life’ 폴더로 나눠 저장했습니다. NAS의 버전 관리 기능 덕분에, 실수로 파일을 덮어써도 이전 버전을 복원할 수 있었습니다.
4주간 사용 데이터를 보면, 문서 검색 시간은 평균 70% 단축됐고, 외부에서 모바일로 문서를 열어본 횟수가 주당 5회 이상 늘었습니다.
속도와 안정성
내 환경에서 NAS 내부 전송 속도는 평균 112MB/s, 외부 접속 시 18~25MB/s였습니다.
- 동기화 오류 발생률: 0.3%
- 가동률: 99.9% (4주간 다운타임 1회, 5분)
이 수치는 클라우드 서비스 대비 안정성이 높다는 걸 보여줍니다.
비용과 유지 관리
초기 비용은 NAS 본체 45만 원, 하드디스크 2개 36만 원으로 총 81만 원이 들었습니다. 매월 클라우드 요금(약 1만 5천 원)을 절약한다고 계산하면, 4년이면 투자비를 회수할 수 있습니다. 유지 관리 측면에서는 펌웨어 업데이트와 하드디스크 상태 점검만 주기적으로 하면 됩니다.
느낀 점과 시사점
NAS는 단순 저장 장치가 아니라, ‘자료 관리 습관’을 바꾸는 도구였습니다.
특히 사진·문서가 많은 직장인이나 프리랜서에게는, 외부 접속과 버전 관리 기능이 큰 장점입니다. 앞으로 AI 기반 자동 분류·검색 기능이 NAS에 본격적으로 적용되면, 자료 관리의 효율은 더 높아질 것입니다.
내 경우, NAS 덕분에 자료 찾는 시간과 중복 저장 문제를 거의 해결했고, 업무 속도도 눈에 띄게 빨라졌습니다.
'생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홈 기기 5종 도입 후 내 집이 자동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다 (0) | 2025.09.30 |
---|---|
스마트워치로 4주간 건강 데이터 분석 내 생활 패턴이 어떻게 바뀌었나 (0) | 2025.09.29 |
두 달간 써본 클라우드 메모 앱 3종 결국 내가 선택한 하나 (0) | 2025.09.29 |
2025 KBO 포스트 시즌 일정과 티켓팅 성공 전략 및 무료 실시간 중계 링크까지 (0) | 2025.09.26 |
경기도 컬처패스 완전 정복 가이드 (0) | 2025.09.24 |
댓글